에어컨 제습 냉방 차이 전기료 차이 정리

반응형

에어컨 제습 냉방 차이 전기료 차이 정리

 

 

 

 

다시금 폭염이 시작되고, 더위가 기승을 부리니,

요즘은 에어컨 틀지 않고 잠드는 것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그 옛날 어떻게 선풍기에만 의존해서 여름을 보냈는지 신기할 정도입니다. 

 

시스템 에어컨을 쓰고 있는 저로서는 리모콘을 누를때마다, 

제습과 냉방에 차이점에 대한 궁금함을 떨쳐 버릴 수 없었습니다. 

 

과연 그 둘은 무슨 차이가 있어서, 

버튼이 구분되어 있는가. 

 

지인중 한분은 제습이 훨씬 효과가 좋아서 본인은 제습만 켠다고 하시던데, 

과연 그 말은 사실인가? 

 

 

 

에어컨 냉방과 제습의 차이점 

가장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냉방 - 온도를 기준으로 작동

 

제습 - 습도를 기준으로 작동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냉방은 바람이 강해서 응결된 수분이 바람을 타고 공기중으로 나옵니다. 

 

그래서  실외기 작동이 멈추면 강한 바람에 수분이 타고 나와 실내습도가 올라갑니다. 

 

 

하지만 제습은 바람이 약해 공기중으로 물분자가 같이 나오지 않고, 

 

물이 배수관으로 떨어져 나갑니다. 

 

 

조금 더 어렵게 설명을 한다면,

 

방안의 뜨거운 공기를 끌어들여 냉각핀에서 냉매를 이용해 기화시키며 차가운 공기를 만들어 내는것이 에어컨 냉방과 제습의 원리입니다.

 

둘의 원리가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차이점은 결국 에어컨 제습은 가장 약한 바람으로 고정되어 있고 냉방기능은 바람세기 설정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에어컨을 사용할때 가장 전기료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은 가장 빠른 시간안에 희망온도까지 온도를 내려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초반에 세게 틀고 빨리 희망온도 21도 정도로 맞춘 후에 에어컨이 너무 돌지 않도록 해주는 것인데, 

 

이때 제습을 먼저 사용하면 아무래도 바람이 세게 불지 않으니,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겠죠? ㅎㅎㅎ

 

 

 

 

 

 

제습기능에서 바람이 약한 이유는 뭔가요?

그 이유는 결국 제습이 좀 더 잘되게 하기 위해서라고 합니다. 

 

제습시에 바람이 세고 강하다면 수분이 다 기화되지 못하고 방안으로 바람과 함께 같이 빨려 나오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온도는 내려가지만 습도는 안 내려가겠죠. 

 

 

 

 

 

그래서 냉방을 하면서도 수분이 자체적으로 기화되도록 만들어서 제습기능이 더 강화되게 한 겁니다. 

 

그렇다면 결국 냉방을 틀어놓고 바람세기를 가장 약으로 해둔다면 제습과 같은거 아닌가요? 

 

맞습니다. 

 

 

 

 

 

 

에어컨 냉방 제습 전기세 전기료 차이

과연 어떤 기능을 사용해야 전기료가 덜 나올까요? 

 

온 국민이 늘 관심을 가지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한때 제습을 사용하는 것이 냉방보다 더 방안을 시원하게 해주고 전기료도 적다는 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방송에서 이런 루머를 확인해본 결과 그 둘의 전기료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그도 그럴듯이,

 

 

결국 제습은 약한 바람의 냉방이니까요. 

 

 

에어컨 사용시 전기료 증가 부분은 결국

 

실외기가 얼마나 더 돌아가냐의 차이

 

그 외 다른 부분은 없습니다. 

 

 

 

 

결국 에어컨 전기세의 주범은 실외기

 

 

에어컨을 사용할때 실외기를 돌리는 것은 냉방 기능과 제습기능입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했듯이 실외기가 돌면 전기세가 많이 나갑니다. 

 

송풍기능이나 건조기능의 경우는 사실상 냉매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외기가 돌지 않습니다.

 

고로, 선풍기 돌리는 정도의 전기만 나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실외기도 정속형과 인버터타입이 있는데, 

 

 

인버터는 일정 온도에 도달하면 실외기가 알아서 전력소모를 줄이며 강중약 조절을 하는 것입니다. 

 

똑똑한만큼 가격이 비쌉니다. 그러나 전기료는 정속형에 비하여 적게 들어갑니다. 

 

 

 

그리고 정속형은 일정온도까지 도달하면 작동을 멈추었다가 온도가 다시 올라가면 다시 부웅하고 돌아갑니다. 

 

그러니, 전기료가 더 비싸지는 타입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결론은 실외기는 무조건 인버터로 구입해야 한다. 

 

 

마무리

오늘은 에어컨 기능인 제습과 냉방, 그리고 실외기의 종류인 인터버와 정속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이 쓰고 있는 에어컨은 인버터가 맞는지도 확인해보시고, 

 

집에서 제습과 냉방중에서 고민을 하실때는 그냥 손가락 가는대로 누르셔도 됩니다. ^^ 

 

결국 전기료는 같으니까요 !!! 

 

 

[건강정보] - 임신 가능한 가임기간 계산하는 법. 가임기간 임신확률

 

임신 가능한 가임기간 계산하는 법. 가임기간 임신확률

"임신 가능한 가임기간 계산하는 법. 가임기간 임신확률" 임신이 가능한 기간이 따로 있다는 것은 알고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10대의 경

noodleman.tistory.com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